창직학

[창직학개론3] 창직의 본질 이해, 이것이 창직이다

직업 만드는 남자 2021. 9. 27.
반응형

[창직학개론3] 창직의 본질 이해, 이것이 창직이다

 

‘창직(創職)’의 한자어 의미를 보면 명확하게 창직의 본질적 의미가 드러난다. 

 

‘創’은 ‘비롯하다’의 뜻으로서 ‘처음 시작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고, ‘職’은 ‘직분, 직업, 직무, 일자리’를 의미하고 있는데, 이를 합치면 ‘직무나 직업을 새로 시작함’과 같다고 볼 수 있다.

 

기존의 창직 개념들이 주로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신직업 탄생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중점을 두었다면, 추가로 재정의된 창직 개념은 직업 탄생의 원인과 동기가 된 직업(직무)의 변화 과정까지 포함하여 정의한 내용이다. , 새로운 직업(직무)의 발굴이라는 창직의 기본 정의 이외에,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직업(직무)에서 세상의 흐름(트렌드, 기술 발전, 가치관의 변화, 사회 문제 등)에 따라서 직무를 새롭게 변화시키거나 바꿔나가는 활동도 창직의 과정에 속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면 자연스럽게 자신의 직무가 개선되거나 개발이 되면서 직무역량이 향상되고, 이를 통해서 스스로 경쟁력을 갖춰 취업에 성공하거나 창업에 나설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기존에 없었던 직무를 발굴하거나 직업을 만드는 단계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창직의 정의를 통해서 일부 또는 극소수만 참여할 수 있는 활동 개념이 아닌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산출물을 낼 수 있는 보편적인 활동으로 확대된 개념이 된다.

 

새롭게 정의된 창직 과정은 급변하는 현시대에 가장 적합한 취업 또는 창업에 필요한 역량개발 과정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림>

<그림>은 기존의 창직 정의와 재정의된 창직 정의에 대한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모든 진로 활동에 창직이 기본 역량으로 자리잡은 형태이다. 급변하고 있는 직업세계에서 자신의 일과 직업을 위해 취업, 창업, 자유업 등을 선택함에 있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직무나 직업을 새롭게 변화시킴(창직)으로써 원하는 진로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문헌 출처:

이정원, 창직이 미래다, 해드림출판, 2017

이정원, 창직의 사회적 가치와 임팩트에 관한 연구, 한양대, 2021

 

written by 이정원

-(사)한국창직협회 회장

-창직학(jobcreatics) 창시

-1호 창직전문가

반응형

댓글